돈되는정보들2024. 1. 26. 23:30

안녕하세요! 출퇴근길을 비롯해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 다들 많이 이용하시는데, 요즘 버스 앞 유리나 뒷 광고판 등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뭐길래 이렇게 핫할까요?

간단히 말하면 월 일정 금액을 지불하는 대신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일종의 정액권입니다.

에버랜드 자유이용권, 혹은 해외여행 유로패스 등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네요 ㅎㅎ

 

그렇다면 기후동행카드 누가 써야 이득이고, 월 금액은 얼마이고, 혜택은 어디까지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어떻게 발급받는지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후동행카드 가격
  • 기후동행카드 혜택
  • 기후동행카드, 서울에 살지 않는 나는 이득일까? 이용가능 범위
  • 기후동행카드 발급받는 법, 신청하기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 소개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위에서 말씀드렸듯 월 일정금액을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무제한 패스권입니다.

이용가능한 대중교통의 범위는 지불 가격에 따라 다소 상이한데요, 지하철과 버스는 기본이며 3,000원을 추가한 패스는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가격

 

기후동행카드 종류
모바일과 실물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실물카드와 더불어 모바일티머니 어플로도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이폰, ios 이용자를 위한 어플은 아직 출시되지 않아서 부득이하게 실물카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기후동행카드 판매처, 구매방법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판매 정보

 

 

실물카드는 위 표에서 언급되듯, 서울 역사 내 고객안전실 또는 역사 인근 편의점 등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현금구매만 가능하므로 구매하실 분들은 꼭 현금으로 3,000원을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종류 및 충전권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 충전 정보

 

 

카드를 구매하셨으면 충전을 하셔야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월 가격은 62,000원이며, 여기에 3,000원을 더하면 사용범위는 지하철과 버스 그리고 따릉이까지 확장됩니다.

따릉이를 자주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65,000원 패스를 구매하는 것이 이득이겠죠?

사용 기한은 간단하게 한 달입니다.

 

재충전은 다음과 같이 가능합니다.

 

- 기간 만료 전(5일 전~만료일) : 권종(금액권) 변경 불가하며 기존 패스를 자연스레 30일 연장 가능합니다.

- 기간 만료 후 : 최초 충전과 동일하게, 권종(금액권) 등 선택 가능. 신규 충전 느낌

 

충전은 서울시계 내 1~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충전기에서 가능합니다.

1호선의 경우 서울역~청량리역 사이의 역에서만 충전 가능합니다.

공항철도, 신분당선 충전 불가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 범위, 나는 이득일까?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범위, 지역
기후동행카드 사용구간

 

 

기본적으로 서울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신분당선, 서울시 밖의 지하철(하단 참고), 광역 및 공항버스 등은 사용 불가합니다.

버스의 경우 요즘 앞유리에 "기후동행카드 가능 노선"이라고 붙여 있더라고요.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지하철역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지하철역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지하철 역 사진입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출발지는 가능 한 범위였으나 도착지는 이용 불가 범위라면? 혹은 그 반대?

 

추가요금이 부가됩니다.

4호선(별내가람~진접),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7호선(석남~까치울), 김포골드라인 전구간, 진접선(전구간)에서는 별도 추가요금 없이 하차 가능합니다.(승차는 불가)

 

보통 월 교통비가 6만 원 이상으로 크게 나오는데, 활동 반경이 주로 서울이라면? 기후동행카드를 활용함으로써 훨씬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6만 원보다 덜 이용하면 차액은 그냥 날리는 건가요?

 

기후동행카드 환불 유의사항
기후동행카드 환불 유의사항

 

 

환불 가능합니다!

다음의 절차대로 수행해 주세요.

 

1. 서울교통공사 서울시계내 1~8호선, 9호선 2-3단계,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무인충전기 방문

2. 교통카드 무인충전기에서 카드 인식 후 환불(카드 사용정지) 버튼 클릭

3. 무인충전기를 통해 실물카드 사용정지

4. 사용기간 만료일 + 15일 이내 '티머니 카드 & 페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환불 접수

5. 환불정보 입력

6. 환불금 계좌 입금

 

 

월에 교통비로만 10~20만 원 깨지던 차에 매우 좋은 녀석이 나왔네요, 저는 바로 신청하러 가겠습니다 ㅎㅎ

 

 

Posted by 김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