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스토어2024. 1. 23. 22:31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오픈마켓, 쿠팡에 입점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지난번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처럼 쿠팡도 손쉽게 입점하는 방법을 말씀드릴 테니, 다음의 과정을 잘 따라와 주세요.

 

  • 쿠팡 입점하는 방법
  • 통신판매업 신고방법
  • 은행 통장 사본 쉽게 얻는 방법

 

 


 

 

쿠팡 입점하기

 

먼저 아래 링크를 통해 쿠팡 판매자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회원가입을 아직 안 하셨다면 회원가입부터! (비즈니스 형태 : 해외직구/병행수입)

쿠팡 판매자 로그인 : Sign in to seller (coupang.com)

 

쿠팡 판매자등록, 사업자 인증
사업자 인증하기

 

 

로그인 후 쿠팡윙 화면을 보시면, 사업자 인증하기가 있습니다!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은 폼이 나오실 거예요.

 

사업자 정보 입력 사진1사업자 정보 입력 사진2
사업자 정보 입력

 

 

위와 같이 사업자 정보를 입력하는 폼이 나오는데, 모두 사업자등록증에 맞는 정보로 기입해 주세요.

정상적으로 제출되면 1~3일 이내에 쿠팡 입점 승인이 완료됩니다.

 

구비서류

1. 통장사본 : 사용하시는 은행 어플 들어가셔서 로그인 후 '통장 사본'검색하시면 보통 나옵니다.

2. 사업자등록증 : 국세청 홈택스에서 기존에 발급받았던 것 업로드.

 

 

통신판매업 신고를 아직 안 하셨다면, 아래 절차대로 수행해 주세요.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

 

사업자 정보 기입 폼 중간쯤에 통신판매자 신고 번호 기입란이 있습니다.

그 아래 확인증 다운로드민원 24 접속해 주세요.

통신판매업 신고 민원 24 :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HighCtgCD=A09006&CappBizCD=11300000006&tp_seq=01

 

신청하기 누른 후 정보 기입해 주시면 됩니다.

판매방식 : 인터넷

취급품목 : 종합몰

인터넷 도메인이름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호스트서버 소재지 : 기입 x

 

파일첨부

구비서류 : 쿠팡윙에서 내려받은 구매안전 pdf를 jpg로 변환하기(캠스캐너 어플 이용 등)

 

통신판매업 신고 완료 화면
통신판매업 신고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왔다면 성공입니다. 이제 통신판매업신고가 접수되었다는 문자가 오면, 등록면허세를 납부하면 완료됩니다.

등록면허세는 사업장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인구수 50만 이하 : 22,500원

인구수 50만 이상 : 40,500원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스마트스토어의 경우 판매를 위해 통신판매자 신고가 필수이므로 꼭 신고해 두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김째이
스마트스토어2024. 1. 9. 22:52

성공적으로 사업자등록을 하셨다면,
이제 마켓에 입점할 차례입니다.

 

 

오픈마켓 종류 사진
오픈마켓 종류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지마켓, 옥션 등 이외에도 다양한 온라인 마켓이 존재하는데요, 구체적인 입점 방법에 앞서서

많은 마켓에 입점해야 하는지
어떤 마켓에 입점해야 좋은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되도록 많은 마켓에 입점하면 좋을까?

 

당연합니다.
여기저기 걸쳐 놓은 곳이 많아야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도 노출될 가능성이 높겠죠.

단 우리는 시간이 한정적이기에, 전업이 아닌 분들은 대표적인 마켓 몇 가지만 우선적으로 시작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오픈마켓, 스마트스토어 순위
오픈마켓 브랜드평판 순위

 

마켓 별 브랜드평판 순위를 첨부했는데, 매출이나 다른 지표 순위도 유사합니다.

 

 

1순위 : 쿠팡, 네이버

 

가장 대표적인 마켓이고, 그만큼 사람들이 많이 이용합니다. 우선 두 곳은 스마트스토어를 할 계획이시라면 당연히 입점합니다.


2순위 : 11번가, 지마켓, 옥션

 

다들 들어보셨을 대표적 마켓들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마켓 이용 빈도가 1순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되도록 여기까지는 그래도 입점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3순위 : 티몬, 위메프 등 기타

 

여기부터는 시간이 많은 분들은 하시면 좋습니다. 티몬과 위메프는 나름 인지도가 있음에도 뒤로 뺐는데, 이는 사이트의 특성상(비용, 업로드 조건 등) 2순위 사이트들에 비해 불리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 : 네이버, 쿠팡은 필수. 11번가, 지마켓, 옥션도 권장. 그 외에는 선택

 

 

 

마켓별 특징 비교

 

<수수료 및 서버비>

마켓 수수료 서버비
네이버 3~5.8% -
쿠팡 4~11% 월매출 100만원 이상인 경우, 월 55,000원
지마켓/옥션 3~15% -
11번가 9~13% -

 

 

<최대 상품 등록 수>

마켓 상품등록수 비고
네이버 10,000 파워 등급 이상인 경우 50,000
쿠팡 10,000 옵션(사이즈 등) 별로 개수 카운트
지마켓/옥션 5,000 3개월 평균 100만원 이상인 경우, 10,000개 상향
11번가 5,000 판매자 등급 1~4등급인 경우, 10,000개 상향

 

 

<정산주기>

마켓 정산주기 비고
네이버 고객 구매확정 시 -
쿠팡 월/주 정산 선택 아래 설명
지마켓/옥션 고객 구매확정 시 -
11번가 구매확정 +2일  

 

 

쿠팡정산주기 설명
쿠팡정산주기

 

쿠팡 정산주기 선택 화면
쿠팡 정산주기 선택 화면(쿠팡 wing)

 

 

쿠팡의 경우 월/주 정산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정산 선택 시 해당 주의 70%만큼 정산되고, 나머지 30%는 2달가량 후에 정산합니다.

월정산 선택 시 해당 달의 매출을 합쳐, 그 다음 달 15일에 정산합니다.

다소 정산주기가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쿠팡 정산주기를 변경하시려면 쿠팡 wing-판매자정보에 가셔서 선택하시면 다음 달 1일부터 적용됩니다.

Posted by 김째이